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검색 점유율] 요즘은 유튜브로 검색한다... 뜨는 유튜브, 지는 검색포털 [검색 점유율 추이] 네이버의 하락과 구글의 약진, 그리고 다음의 정체 https://goodperson87.tistory.com/33 [검색 점유율] 네이버 검색 점유율 하락의 3가지 이유 https://goodperson87.tistory.com/35 [포털사이트 점유율] 어차피 승리는 구글이다? (구글 VS 네이버) https://goodperson87.tistory.com/41 [포털사이트 순위] 네이버가 승리하기 위한 3가지 방법 제안 (네이버 VS 구글) https://goodperson87.tistory.com/47 [검색 점유율] 다음은 이대로 무너질 것인가? https://goodperson87.tistory.com/57 [검색 점유율] 요즘은 유튜브로 검색한다... 뜨는 유튜브, 지는 .. 더보기
국회청원(국민동의청원), 국민청원과 다른 점은? (Feat. 문재인 대통령 탄핵?) 실시간 검색어에 '국회청원'이 올라와있었다. 내가 아는 단어는 '국민청원'인데 조금 다른 단어가 올라와 있어서 용어가 바뀐 것인가 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국민청원'도 있고, '국회청원'도 있다. 2가지가 다른 것이었다. 나처럼 이에 대해서 잘모르고 있는 분들이 더 계시리라 생각해서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민주주의를 채택하고, 그 중에서도 3가지의 권한을 모두 분리해두었다. 흔히 말하는 '3권분립'이 바로 이것이다. 입법부(국회) / 사법부(대법원) / 행정부(정부)를 분리해서 서로 견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쪽이 힘을 가지면 그 힘은 결국 부정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이를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일을 막기 위해 삼권분립을 하는 것이다. .. 더보기
전세의 역습, 상실감에서 안정감으로? 부동산 가격이 최근 몇 년 동안 말도 안되게 올랐다. 이제 더 이상 오를 곳이 없다고 생각했지만, 그 지점을 통과하고도 한참을 더 올랐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은 쾌재를 불렀고, 또 많은 이들은 상실감을 느꼈다. 누구보다 크게 상실감을 느낀 사람들은 전세 세입자들일 것이다. 이들은 실제 집값이 많이 오른 지역, 그리고 많이 오른 집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집값이 올랐는데, 이들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전혀 없다. 집값이 올랐으니 전세금도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 분명히 오를 것이다. 본인이 살고 있는 집의 가치가 올랐는데 돌아오는건, 높아진 전세금 부담이다. 적잖은 상실감을 느꼈으리라. 그래서 이 사람들의 '내 집 마련'에 대한 대한 욕구는 더욱 커졌다. 전세에 살던 사람들뿐이 아니다. 이미 집이 있는 .. 더보기
[슬기로운 직장생활] 재택근무 분위기 형성, 코로나의 유일한 긍정적 요소? 코로나 확진자가 1천명을 훌쩍넘어 2천명이 다 되어간다. 감염 검사 진행 인원이 2만명이 넘은 상태. 곧 1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3월 중순까지는 확진자와 사망자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는 공기 감염이 아닌 호흡기 감염이다. 코와 입, 눈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해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감염 환자들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종교집회 등의 장소에 방문했다가 걸리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가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이라는 말이다. 그렇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코로나에 걸려서 목숨이 위태로워질 수도 있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직장에 가지 않으면 삶이 위태로워진다. 위험 부담은 있지만, 직장에 갈 수 밖에 없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