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사랑니 발치]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feat.질병관리청)

반응형

얼마전 사랑니를 뺐습니다. 오른쪽은 1년 전에 뺐는데, 왼쪽 사랑니 발치를 결심하기까지는 1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 이유는 왼쪽 아래 사랑니가 매복사랑니였기 때문입니다. 매복사랑니는 사랑니가 옆으로 누워서 잇몸 안에 들어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매복사랑니 발치는 일반 사랑니 발치보다 조금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뽑습니다. 일반 사랑니 발치는 그냥 진행하면 되지만, 매복사랑니 발치는 수술을 통해서 뽑아야합니다. 그래서 신경과 너무 붙어있거나, 수술을 하기 어려운 동네 병원에서는 대학병원으로 갈 것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매복사랑니 발치가 수술로 들어가는 이유는 잇몸을 절개하여 치아를 뽑아야하기 때문입니다. 신경에 손상이 갈 수 있다는 내용의 동의서를 작성해야 하기도합니다.

사랑니의 형태는 다양한데, X-Ray와 CT를 찍어보고 그 모습에 따라서 어떻게 수술을 할지 결정합니다. 잇몸을 가볍게 절개해서 발치하는 가벼운 수술을 할 수도 있고, 잇몸 절개 이후 이빨을 쪼개서 나누어 뽑는 다소 복잡한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1년 전의 저는 그러한 내용을 의사 선생님으로부터 듣고, "꼭 뽑아야하나요"라고 물었고, 의사 선생님은 왠만하면 뽑을 것을 권장해주셨지만 저는 뽑지 않았습니다. 무서웠기 때문이죠. 그렇게 잊고 살던 와중에, 사랑니가 잇몸염증과 고름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알려왔습니다. 저는 그 고통을 참지 못하고 드디어 사랑니를 뽑기로 결심했죠. 저는 꽤나 깊게 매복해있었기 때문에 복잡한 수술을 통해 사랑니를 발치해야만 했습니다.

복잡한 수술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런 저런 정보를 찾아봤죠. 비용부터 통증, 부작용이나 위험성 등 많은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얻던 도중 사랑니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를 모아둔 사이트를 찾았습니다. 많은 정보가 들어가 있으면 그 정확도를 의심할 수 있죠. 하지만 제가 발견한 사이트는 정확도마저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였습니다. 그 이유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기 때문이죠. 바로 "질병관리청"입니다.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9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사랑니

개요-정의 사람은 사랑니를 포함하여 모두 32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랑니는 치아 중에서 가장 나중에 나오는 어금니로서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나오기 때문에 사랑니라고도

health.kdca.go.kr

제가 많은 정보를 거의 찾고 이 사이트를 발견했는데 대부분의 내용이 이 사이트에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사랑니의 정의부터 종류, 진단과 치료 방법, 그리고 발치 후 주의사항까지 나와있었죠. 제가 아직까지는 건강하기 때문에 이 '질병관리청 국거건강정보포털'이라는 웹사이트를 거의 들어가본적이 없는데, 사랑니발치 덕분에 들어가게 된 이 사이트가 기대 이상으로 너무 잘 정비되어 있었습니다. 건강한 것이 가장 좋지만, 혹시 병에 대한 내용을 찾아봐야할 일이 생긴다면 앞으로는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을 이용해볼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는 아무래도 비용적인 것보다 질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정보는 따로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궁금해하실만한 사항으로 사랑니발치도 실비보험의 적용여부 같은 것일텐데, 사랑니발치도 역시 실비보험을 통해 비용청구가 가능합니다. 매복사랑니 발치가 필요하신 분들은 실비보험을 적극 활용하시길 권합니다.

매복사랑니 발치는 마취를 하기 때문에 마취시 통증을 제외하면 크게 어려운 것은 없습니다. 약 2일 이후부터는 거의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고, 일주일 이후 실밥제거만 하면 문제없습니다. 다만, 사랑니발치 후 2일 동안은 얼굴이 붓거나 멍이 생길 수도 있고 그 쪽으로 음식물을 씹는게 쉽지 않습니다. 사랑니발치를 하지 않고 괜히 잇몸염증이나 고름의 고통을 겪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뽑아야할 사랑니, 발견하면 바로 뽑으시길 바라며 자세한 정보는 위에 소개해드린 '질병관리청'을 살펴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 혹시 궁금한 사항에 대해 댓글남겨주시면 확인하는대로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