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 성희롱이나 성폭행을 여론의 힘을 결집하여 해결하는 것을 말하며 2017년 미국에서 먼저 시작된 운동이다. 미투운동은 우리나라에도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으나 이 운동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아닌, 악용하는 사례도 늘어나면서 남성과 여성의 대립이 생기기도 했다. 하지만, 이 운동이 전개되기 전과 후 무의식적인 남성 우월적인 사례들이 많이 나아졌다. 완전하진 않지만 평등으로 가는 길에서 주요한 시발점이 되었던 운동이다.
빚투 : 연예인 등 공인과 관련한 돈이야기를 여론화하는 것을 말한다. 미투운동과 연결지어 '빚'이라는 단어에 '투(too)'를 붙혔다. 올바른 단어인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들지만 이미 많은이들이 쓰고 있는 단어다. 대중화가 되어버렸다. 나는 사실 이 단어를 최근까지 몰랐다. 그러나, 이미 대중화가 되어 버렸다.
학투 : 빚투에 이어 또 다른 미투의 파생어다. 연예인이나 공인 등 TV 등 미디어에서 좋은 사람처럼 포장되어 있는 이들이 행했던 학교폭력에 대한 공론화다. 개인적으로 더 늦게 생겼지만 학투는 그나마 미투와 결이 같다고 본다. 미투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지나간 학교폭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도 역시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글쎄, 미투로부터 파생되는 단어가 늘어나는 것이 과연 긍정적인 현상인지에 대해서는 모르겠다.
이 단어들에 대해 우리는 조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사회적인 불합리를 공론화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작했던 미투 운동, SNS의 순기능이다. 그렇지만 이 운동도 결국은 변질이 되고 있다. 이렇게 변질되어 버렸다는 것을 단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빚투'라는 단어의 탄생이다. 빚투는 그저 알리는 일이다. 미투와는 결이 다르다.
미투는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사회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방안이다. 빚투도 물론 공인의 나쁜 일을 사회적으로 알리는 일인데, 이는 미투 운동이 시작한 의미를 단순한 고발 정도의 의미로 퇴색시키는 것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학투도 그 당시 해결하기 어려운 일을 공론화 하는 부분에서 미투와 비슷하지만, 결국 미투와 비슷한 파생어가 생기는 것은 미투를 끌어내리는 듯한 느낌이 있다.
그리고 내 생각에는 굳이 저런 용어들을 만들어야 했나 싶다. '학교폭력 논란', '아버지 빚논란' 등 풀어서 쓰는 것이 더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 같다. 또한 '빚투'라는 용어는 "빚내서 투자하자"라는 우리 시대의 사회 현상에서 나타나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더 모호해졌다. 빚투의 두 가지 의미 모두 빚을 채무로 인식한다. 혼란의 여지가 있다.
이런 단어를 만드는 사람들이 누가 될지 알 수 없고, 누구인지도 알 수 없다. 우리는 그런 시대에 살고 있다. 그렇지만 단어의 대중화는 아직도 미디어를 통해서다. TV와 신문 등은 아직도 중요매체다. 저런 단어들이 퍼지기 시작한 것도 아마 TV와 뉴스에서 쓰기 시작하면서가 아닐까 싶다.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공공의 성격을 가지는 것은 아직 TV와 신문이다. 그나마 얼마 남지 않는 이런 메인 미디어들이 적어도 단어의 선택은 제대로 해서, 단어를 가려야하지 않을까 싶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음식 먹어도 될까? (Feat. 용어설명 /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 등 ) (0) | 2021.01.03 |
---|---|
연반인 뜻 (Feat. 재재) (0) | 2020.11.22 |
[첫 차 구매] 새차 VS 중고차, 중고차를 사면 차의 등급이 달라진다 (0) | 2020.08.30 |
코로나라이브, 실시간으로 확인하세요 (corona-live.com) (0) | 2020.08.27 |
[첫 차 구매] 예산 수립, 얼마짜리 자동차를 살 것인가? (Feat. 취등록세) (0) | 2020.08.10 |